Shot Location | California |
---|---|
License Type | 사용동의 라이센스 |
-
맥스님 쓰신 내용을 보면서 제가 많이 배웁니다
눈내린 곳이었으면 훨씬 멋질 거라 생각합니다
Category
- Long Exposure(10)
- Street Photography(288)
- Astrophotography(84)
- Aerial photography(2)
- Infrared photography(11)
- Black & White(37)
- 사람/인물(1666)
- 나무/식물(1157)
- 동물(717)
- 자연/풍경(3876)
- 문화/예술(361)
- 아사동출사(454)
- 미국(394)
- 생활(2036)
- 사회(70)
- 여행(410)
- 이벤트/행사(256)
- 건축/시설물(448)
- 교통/길(96)
- 비지니스/산업(7)
- 소재/배경(168)
- 스포츠/레져(70)
- 한국/전통(36)
- 오브젝트(170)
- 음식/농산물(50)
- 종교(25)
- 주택/인테리어(28)
- 지역/국가(10)
- 컨셉이미지(81)
- 감성사진(127)
- 과제사진(519)
- 기타(461)
-
looking for Christmas star
27Decby max2024/12/27 by max
in Astrophotography
Views 47 Likes 3 Replies 9
매화는 한국에선 가난하지만 결코 초라하지 않은 기품있는 지조와 절개를 상징한다고 하고 일본에선 충성, 충의, 고결, 인내등을 뜻한다고 합니다.
대만의 국화로 장미과, 3,4월 잎이 나기전 꽃이 피고 6,7월에 익은 열매를 매실이라고 하여 먹는답니다.
원산지는 중국 쓰촨성 산간지라고 알려져 있답니다.
눈속에서 꽃이 핀다고 해서 설중매, 꽃이 일찍 펴서 조매, 추운 겨울에 펴서 동매, 한매등으로 불리운 답니다. 이중에 1월에 피는 매화를 납매라고 해서 꿀벌의 밀랍을 뜻하는 노란색의 꽃을 피운다고 해서 황설리화라고도 불리운답니다.
홍매화는 겨울의 끝을 알린다고 하고 희망과 인내가 꽃말이랍니다.
최근엔 74년만에 개방된 청와대의 개관식에 74인의 대표단이 매화묶음을 들고 입장해서 70년대 북한행사라든지 일본 무속의식중 히나 마츠리라는 여자의 건강과 성장 행복을 추구하는 일본의 문화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해서 화제가 되었던 꽃입니다. 축하를 위해선 여러가지 꽃다발을 들고 입장해도 될텐데 왜 하필 홍매였는지 궁금하기도 했었죠.
사쿠라라는 일본말은 벚꽃을 의미한다는데 일본에서 봄을 상징하고 덧없는 삶의 본질과 죽음을 의미한답니다.
매경한고라고 봄을 알리는 매화는 겨울 추위를 이겨낸다라고 하며 시진핑과의 정상회담에서도 회자되면서 홍매화 그림선물을 하기도 했었다죠.
매화는 한중일 세곳에서 잘 알려져 있고 서양에서 꽃나무로 가꾸고 즐긴다는 걸 들어본적이 업는지라
우리들에게도 꾸준히 사랑받는 꽃입니다. 화엄사의 홍매나 창덕궁의 만첩홍매, 강를 오죽헌의 오죽매등 추위에도 잘 견디며 맑은 향기와 신선의 운치로 순결과 절개를 숭상하던 한국인들에게 특히나 사랑받는 꽃이 아닌가 합니다.
매년 추운 겨울을 견디고 다시 피어나는 매화를 보면서 참 배울게 많은 꽃임을 첫눈이자 마지막 눈이 아닐까하는 눈쌓인 애틀랜타에서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