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쉬파(Amish)는 기독교에서, 재세례파 계통의 개신교 종파를 말한다. 주로 17세기 이후 탄압을 피해 유럽에서 이주한 스위스-독일계 이민들이 많다. 창시자는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야곱 아망으로 알려졌다.
주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거주한다. 이들은 재세계파가 보수화되면서 등장한 교파의 성격답게 자동차나 전기, 전화 등의 현대문명을 거부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종교적 이유로 외부세계로부터 자신을 격리해왔다. 이들은 종교적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를 실천하여 군대에 가지 않고, 공적연금을 받지 않는 등, 정부로부터 어떤 종류의 도움도 받지 않으며, 대부분이 의료보험에 들지 않는다. 이는 국가와 종교의 분리를 주장한 재세계파의 교리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아미 싶어 교인들은 펜실베이니아 독일어로 불리는 독일어 방언을 쓴다. 주로 단순하고 소박한 검은색 계통의 옷만을 입으며, 대다수의 교인이 전통적 방식의 농축산업에 종사한다. 어린이들도 자신들이 설립한 마을 내 학교에서만 교육을 하며, 종교는 연구대상이 아니라는 신앙에 따라 종교와 과학은 가르치지 않는다. 단지, 읽고 쓰는 법 등 생활에 필요한 기본지식만 배울 뿐이다. 대부분의 학생은 중등교육까지만 교육을 마친다. (펌글)
아미쉬파(Amish)는 기독교에서, 재세례파 계통의 개신교 종파를 말한다. 주로 17세기 이후 탄압을 피해 유럽에서 이주한 스위스-독일계 이민들이 많다. 창시자는 스위스의 종교개혁자 야곱 아망으로 알려졌다.
주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거주한다. 이들은 재세계파가 보수화되면서 등장한 교파의 성격답게 자동차나 전기, 전화 등의 현대문명을 거부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종교적 이유로 외부세계로부터 자신을 격리해왔다. 이들은 종교적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를 실천하여 군대에 가지 않고, 공적연금을 받지 않는 등, 정부로부터 어떤 종류의 도움도 받지 않으며, 대부분이 의료보험에 들지 않는다. 이는 국가와 종교의 분리를 주장한 재세계파의 교리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아미 싶어 교인들은 펜실베이니아 독일어로 불리는 독일어 방언을 쓴다. 주로 단순하고 소박한 검은색 계통의 옷만을 입으며, 대다수의 교인이 전통적 방식의 농축산업에 종사한다. 어린이들도 자신들이 설립한 마을 내 학교에서만 교육을 하며, 종교는 연구대상이 아니라는 신앙에 따라 종교와 과학은 가르치지 않는다. 단지, 읽고 쓰는 법 등 생활에 필요한 기본지식만 배울 뿐이다. 대부분의 학생은 중등교육까지만 교육을 마친다. (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