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가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파일명으로 사진을 저장해버리면 나중에 찾기가 엄청 힘들어 집니다.
폴더명만 바꿔서 저장한더 하더라도 사진이 석여버리면 수습이 불가능하게 되죠.
라이트룸으로 저장하게 되면 쉽다고 들은것 같은데...... 포토샵브리지도 이역활을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폴더명 파일명 정하는 업션중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도움이 필요합니다.
1. 라이트룸 vs 포토샵브리지
2.
이벤트 혹은 장소가 먼저고 다음 날짜가 나와야하는지..... buford20120331
날짝가 먼저 나오고 이벤트가 나중에 나와야하는지...... 20120331buford
그럼 날짜는 년도부터 써야하는지 월일부터 써야하는지...... 20120331buford 03312012buford
이외에도 다른방법이 많은걸로 알고있습니다.
p.s. 폴더와 파일을 정리하는 노화우도 겸해서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의견
1. 폴더명........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정해주는데로 사용한다.
파일명........ 나중에 고친다.
2. 폴더명........ 라이트룸이 정해주는데로 사용한다.
파일명....... 안고친다.
3. 폴더명......... 날짜와 장소를 넣어 만든다. YYYY_MM_DD_장소명
파일명.......... 안고친다.
4. 폴더명.......... YYMMDD_장소명_주연배우(또는 이벤트, 사연) 단, 스페이스 없이 영어만 사용
파일명.......... 안고친다.
우선은 저는 촬영 후 컴퓨터에 저장할 때 케논에서 제공된 프로그램을 씁니다. EOS UTILITY입니다. 아주 간략하게 날짜와 파일번호만 저장이 됩니다.
2012_03_31로 폴더가 생성되고 2012_03_31_0001 이렇게 파일명이 정해집니다. 브릿지를 쓰면 파일명도 넣을 수 있던데 전에 실수로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을 하니
전에 쓰던 파일명으로 고대로 저장이 되더군요. 그래서 잘 안쓰게 됩니다.
중요한건... 매번 저장할때마다 같은 프로그램으로 저장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냥 메모리카드 리더기로 사용하다가 회사별 프로그램 사용하다가 컴퓨터 자체에 있는 메모리 슬롯에 넣고 저장하다보면 완전 짬뽕이 되는거죠.
가끔 똑딱이 방수 카메라나 아이폰 사진을 백업하면 여간 귀찮은게 아니라서요. 그때는 파일명 일괄 변환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쫘~악 해버립니다 저는...
아님 폴더를 아예 기종에 따라 넣는 방법등...
어도비 브릿지에선 카메라 종류, 이미지의 종류, 날짜별, 초점거리별, 렌즈별등등 여러가지를 필터로 이용해 분류할 수 있어서 한목에 정리할때 편하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