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견우 직녀성

by max posted Jun 03,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목록
  • profile
    포타그 2019.06.04 03:53
    와우...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니까 더 관심이 가네요... 다음번엔 뭘 찍는지 알고 찍겠습니다... 감사..^^
  • profile
    포타그 2019.06.04 04:00
    태양계 행성을 육안으로 얼마나 볼수 있는지
    그것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네요..ㅎ
  • profile

    포타그 님에게 달린 댓글

    00500662_20190316.jpg

    왼쪽부터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의 모양 

    지구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행성은 위의 세개와 목성 토성 그리고 달을 포함해 6개, 여기에 태양을 포함해 7개의 행성이 동양의 오행사상과 합쳐져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일주일, 즉 월화수목금토일이 되었다는 사실.  영어의 어원도 그리스 라틴어의 행성이름

    (Solis, Lunae, Martis, Mercuri, Lovis, Veneris, Saturni)에서 기원되었다고 합니다. 


    Planets2008K.jpg

    태양계 행성의 크기별 비교


    2019-June-4-5-6-Mars-Mercury-night-sky-chart.jpg

    오늘 (6월 4일)  일몰후 한시간후 서쪽 하늘 지평선 근처에 보일 수성(Mercury)과 화성(Mars) 

    시간이 지나 6월 17일쯤엔 두 행성이 가까이 붙는다고 합니다.


    00501919_20180727.jpg

    화성은 달과 가까이 보이죠.  작년 7월 중순 화성이 충(태양과 행성사이에 지구가 위치할 시기, 지구와 가장 가까워 지는 시기)에 놓이게 되면서 엄청나게 밝게 보였었죠.  

    토성과 목성은 위에서 언급했으니 찾으실수 있을겁니다.


    행성(Planet)과 항성(Fixed Star)의 차이점 알고 계시나요?

    스스로 빛을 낼수 있다면, 즉 핵융합으로 빛을 내면 항성이고 그 빛에 반사되어 보이는 즉 스스로 빛을 낼수 없으면 행성이라고부르기로 했답니다.  또 행성은 항성의 주위를 도는 별들이고 항성은 그 중앙에 위치한 움직이지 않는 별이란 개념이죠.

    하지만 항성도 사실 속해 있는 갤럭시 중앙을 기점으로 공전을 하게 되는데 워낙 주기가 길다보니 무시할수 있는 거죠.

    시계방향으로 약2억 오천만년에 1회를 돈다고 합니다

    download.jpg

    태양의 나이는 45억년쯤으로 추정하는데 109억년정도가 수명이라니 아직 7수십억년의 세월동안 햇빛걱정은 없겠죠?

    지구에 생물이 생겨나며 인류가 걷기 시작하고 잘낫다고 깝치기 시작한 시기가 수천년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포노사피언스족들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은 수십년도 채 안되는 시기인걸 생각하면 지구의 존재와 인간의 문명은 정말 아무것도

    아닌 것이란 생각이 들고 우주의 존재와 이 모든걸 지으신 분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수 없습니다.

    하루에 한번은 하늘을 쳐다보며 엄청난 우주의 존재를 생각하며 숙연해지는 시간을 갖어보면 어떨까 합니다.


    위와 같이 찾으시면 수금지화목토는 찾으실수 있을겁니다. 계절과 시간에 따라 별자리는 행성의 자전과 공전의 영향으로 위치가 바뀌게 됩니다만 어느정도의 위치는 가능하실수 있을겁니다.


    참고로 저는 "Skyview"라는 무료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고 있는데 더 확실하게 행성과 별들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가 있습니다.



    오늘 저녁, 삭월의 영향으로 달빛이 없는 저녁 하늘이라 행성들 찾아보면서 자신도 찾아보는 좋은기회라는 생각이 듭니다.






  • profile
    max 2019.06.10 07:03 글쓴이
    견우성과 직녀성의 거리가 16광년이랍니다. 빛이 일년동안 가는 거리 즉 9.5 trillion KM (0이 12개) 에 16을 곱하는 거리라는 데 이게 상상이 안갑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이 있다는 안드로메아 갤럭시는 2,5 million 광년 즉, 빛이 2백5십만년을 가야하는 거리랍니다. 카시오페아 밑에 있는 자리는 카메라에도 종종 잡히기도 하는데 지금 보는 별빛이 아주 아주 오래전 출발해 우리 눈에 도착한 것이라네요.
  • profile
    Overlander 2019.08.08 06:55
    알기 쉽게 자세히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profile
    max 2019.08.08 07:03 글쓴이

    Overlander 님에게 달린 댓글

    네. 어제가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7월 7석이었군요. 오작교가 열렸으라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