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96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물거리는 아름다운 한글을 제대로 쓰기위해 가끔씩 공부하는데요,,,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 단어들은 우리가 자주 틀리게 쓰는 것들 이랍니다...

살펴보니,,, 저도 대부분 틀리게 사용하고 있었군요....

출처:   http://m.blog.naver.com/polo854/220456402174

FB_IMG_1440004274738.jpg


FB_IMG_1440004278075.jpg


FB_IMG_1440004281127.jpg


FB_IMG_1440004284123.jpg


FB_IMG_1440004287267.jpg






  • profile
    서마사 2015.09.29 22:30
    대부분의 우리의 잘못된 맞춤법은 오래전의 맞춤법과 최근의 법이 많이 변했기 때문입니다.
    몇몇 단어는 분명히 초등학교때 매맞으면서 배웠던 것들이 이제는 틀리는 맞춤법이 되었지요.
    아무리 그래도 " 구시렁 거리다" 라는 말을 하는 사람을 본 기억이 없습니다..나는 지금도 궁시렁 거리다 라고 쓰는데 나만 그런가? 나만 초등학교 분교를 나와서 잘못배웠나?
  • profile
    JICHOON 2015.09.29 23:43
    아... 나는 맛는 것이 없따아.... 큰일이로세...
  • profile
    keepbusy 2015.09.30 14:30
    언어도 생성, 소멸 되는 문화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바뀌는 것이 당연합니다..

    소멸되어 가고있는 언어를 기억하고 쓰고 있는 사람들은 구세대
    새로 생성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신세대... 뭐 .. 이렇게 되겠지요...
  • profile
    유타배씨 2015.09.30 16:18
    가뜩이나 쉽지않은 맞춤법이 그것도 바뀌니 모든국민들이 잘 모르는것은 당연합니다. 지방마다 또 말도 다르기도 하니 이렇게 "표준말" 만을 고집하다가는 지방말이 점점 사라져가는 안타까움도 있을테고요. 사투리는 잘못된것이 아니라 경기도지역의 말과는 다른것 뿐일테니까요.
    우리말은 한 100년만 지나도 너무 다른것 같아요. 홍길동전은 커녕 조선후기의 한글만 보아도 도저히 읽을수가 없어요, 저는 읽고 싶습니다. 한자는 몇천년 동안이나 씌이고, 영어도 모르긴 몰라도 근 2~300백년 정도의 글은 다 읽고 이해할수 있을텐데요.

    개인적으로 가장안타까운것은 외국어 밀려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입니다. 외국인들이 우리말을 배울때는 한글도 배워야되고, 또 한국인들이 쓰는 외국어, 특히 영어도 한국식으로 따로 배워야한답니다. 한글은 500년전에 만들어진 최첨 과학적인 글이고, 우리말은 프랑스말이 들리우는것 처럼 매우 아름답게 들리기에 그 아쉬움이 더욱 큽니다. 우리가 영어를 즐겨쓰면, 영국이나 미국사람들은 우쭐해 지겠죠? 마찬가지로 다른 나라사람들이 한국어를 즐겨섞어 쓴다면 우리도 어깨가 으쓱하게 될것도 같고요.

    한글과 우리말에 자부심을 가집니다.
  • profile
    Espresso 2015.09.30 22:20
    하나하나 읽어봤습니다만 지금 받아쓰기 시험봤다면 30점도 안될 것 같네요.
    정말이지 크게 인쇄하여 벽에 걸어둬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댓글을 쓰고있는 지금도 틀린 철자는 없는지 걱정입니다.
  • ?
    maxine 2015.10.04 17:57
    가장많이 본 단어가 '어의없다' 네요... 지금도 여러 포럼 댓글들을 보면 어의없는~ 덧글들~
  • ?
    Sam 2015.10.16 14:43
    맞아요,
    필요하죠 감사.

  1. 05
    Jun 2014
    11:26

    레인지파인더 렌즈로 미러리스 렌즈 만들기

    제가 갑자기 뭔 바람이 불어가지고 서는 옛날 골동품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를 이베이에서 구입해 분해를 해보고 있습니다. Yashica MG-1, Yashica Electro 35, Minolta HiMatic etc... 벌써 6대를 구입하고 3대는 이미 운명을 달리하셨습니다. 남은 3대도 곧 ...
    Category정보 ByJICHOON Reply6 Views1509 file
    Read More
  2. 24
    Jun 2014
    15:31

    무서운 구글

    지난번 글에 사진을 어디서 촬영했는지 지도 정보를 넣어주는것이 라이트 룸에서 가능하다는 유투부 강좌를 올렸습니다. 문제는 내 이동 경로를 기록하는 GPS 장치가 필요한데.. 그것을 핸드폰에 있는 GPS tracking 왭을 사용했더니. ( 저느 GEO TRACK을 사용)...
    Category정보 By서마사 Reply9 Views923 file
    Read More
  3. 03
    Mar 2015
    09:29

    사진 기술 관련 용어 해설 (영어)

    DP Review에서 사진 기술 관련 주요 용어를 그림과 함께 설명을 잘 담아놨네요. 아래 링크에 가시면 단어별로 찾아보실수 있습니다. 영어라 죄송~~~ http://www.dpreview.com/glossary
    Category정보 ByJICHOON Reply0 Views191 file
    Read More
  4. 01
    Sep 2015
    17:20
    No Image

    않, 안의 사용법에 대해

    미국 온 지 20년이 되니 한글 맞춥법, 띄어쓰기, 올바른 단어 사용 등이 가물가물하고 잘 틀립니다. 그래서,,, 기억을 되살리고 아름다운 한글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 요즘 가끔씩 "우리말 바로쓰기" 기사를 읽습니다. 한글이 가물가물 해지는 회원 여러분에...
    Category정보 By공공 Reply11 Views443
    Read More
  5. 29
    Sep 2015
    16:46

    궁시렁거리다 vs 구시렁거리다 ???

    가물거리는 아름다운 한글을 제대로 쓰기위해 가끔씩 공부하는데요,,,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 단어들은 우리가 자주 틀리게 쓰는 것들 이랍니다... 살펴보니,,, 저도 대부분 틀리게 사용하고 있었군요.... 출처: http://m.blog.naver.com/polo854/22045640...
    Category정보 By공공 Reply7 Views296 file
    Read More
  6. 19
    Oct 2015
    14:32
    No Image

    Free GOOGLE EARTH PRO

    사진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장소 물색과 다른 사람들이 그곳에서 찍은 사진들을 볼수 있도록 잘 정리가 되어 있는 Google Earth Pro가 무료로 풀렸습니다. Google Earth 일반 버전보다 더 상세한 지형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http://www.goog...
    Category정보 ByJICHOON Reply1 Views153
    Read More
  7. 03
    Jan 2016
    15:08
    No Image

    ND Filter

    에스더님이 올리신 폭포사진에  쿨지오님이 다신 코멘트 속에 ND Filter 라는 단어가 등장했습니다.  저같은 초보에게는 외계어였기에 검색해 보았습니다.  혹시 다른 초보님들께도 도움이 될까 하여 이곳에 올립니다. 출처:  http://www.photobong.org/bbs/zb...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8 Views7933
    Read More
  8. 17
    Jan 2016
    23:15
    No Image

    Raw Image Importer

    Photoshop 으로 Raw Image를 사용해 후보정을 하려고 하니 읽지를 못하네요.  검색해 보니 Camera Raw plug-in 이 필요하다는 군요.  이 플러그인은 밑의 링크를 이용하셔서 자신이 원하시는 버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https://helpx.adobe.com/camera-raw/kb...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1 Views112
    Read More
  9. 29
    Jan 2016
    18:47
    No Image

    다섯가지 기발한 사진관련 장비들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4 Views154
    Read More
  10. 03
    Feb 2016
    00:56

    Crop Frame Vs. Full Frame

    자유게시판에서 moonriver님의 렌즈에 관한 질문에 지춘님께서 FF바디와 Crop바디에 관하여 언급하셨습니다.  두 단어 다, 초보인 저에게는 외계어라서 검색해 보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동아일보 싸이트에 좋은 글이 있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19 Views361
    Read More
  11. 11
    Feb 2016
    21:12

    zoom, macro, and telephoto lens 의 차이

    사진에 입문한지 약간 되니까 지름신의 유혹이 천천히 시작되네요.  카메라에 딸려온 줌렌즈에 더하여 하나 더 렌즈를 구입하고 싶은 생각이 있어서, 조사를 하다가 유용한 글을 발견했기에 게시합니다. Difference between zoom, macro, and telephoto lenses...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4 Views277
    Read More
  12. 26
    Feb 2016
    23:08
    No Image

    Ansel Adams 의 style

    지난 번 Booth Museum 출사에 참석하지 못하여 Ansel Adams 에 관한 자료를 찾다가 그의 style 을 분석한 동영상을 발견했습니다. 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1 Views139
    Read More
  13. 04
    Mar 2016
    06:16
    No Image

    사진 (특히 렌즈)의 원리

    어제 3월 정기모임에서 렌즈의 원리에 관한 강의 요청이 있었고,  현재 계획 중인 조명기초반 이후에 고려해 볼 수 있다는 답변이 있었습니다. 렌즈에 관한 자료를 찾아보다가 강원대학에서 만든 괜찮은 PowerPoint 자료를 찾았습니다. 사진에 대한 일반적인 ...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6 Views216
    Read More
  14. 06
    Mar 2016
    23:08
    No Image

    카메라렌즈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Category정보 By아누나끼 Reply0 Views171
    Read More
  15. 16
    Mar 2016
    09:05
    No Image

    소니당원들을 위한 정보

    소니에서 최근 기종들에 대한 Firmware를 업데이트했습니다. 각 기종별로 어떤 부분이 업데이트되었는지는 제가 다 확인은 안했습니다만 보통 화질개선, AF속도 개선, 배터리 수명 연장, 카메라 구동 속도 개선 등등 이전 Firmware에 문제가 있었던 경우는 이...
    Category정보 ByJICHOON Reply2 Views24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
a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