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97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50px-Ansel_Adams_and_camera.jpg : 흑백사진 노화우좀 가르쳐 주세요                rose.jpg


                                                                         Ansel Adams (1902 - 1984 )







흑백사진을 많이 안찍다 보니 칼라사진을 흑백으로 바꿀때의 노하우를 잘 모르겠습니다.


우선 구도가 중요하지만 ........ 칼라사진을 흑백으로 바꾸는 방법에 따라서 하이라이트하고 싶은 대상을 틀리게 표현한다고 들었습니다.


필카 시절에는 흑백사진 찍을때 색이 들어가 있는 필터를 사용해서 하늘... 숲..잔듸...나무.....얼굴톤 등등을 보정해서 찍었다고 하네요.


포토샵을 이용해서 흑백사진을 만들때는 주로 CHANNEL MIXER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방법은 Monochrome 을 채크하고 RGB 채널의 합이 100 이 되게 하는 방법이죠.


설마  ctrl + shift + U 로 흑백으로 바꾸시는 분은 별로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본인이 많이 사용하는 방법과 남들과 Share 하고 싶은 방법이 있으면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자면 나는 얼굴을 부곽시키기 위해서는 R값이 몇이고 G값이 몇이고 B값을 몇으로 하고 하늘색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 이렇게 저렇게 한다 등등



  • profile

    저도 늘 고민하던 것들을 올려주시네요. 제 마음을 읽으셨나...?


    우선, 좋은 흑백사진을 찍으시려면 반드시 RAW파일로 놓고 찍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어차피 바디에서 흑백으로 설정해 놓고 찍으셨더라도  Raw파일로 품질설정을 해놓고 찍으셨다면  Raw파일에는 흑백으로 저장되지 않습니다. 카메라 기종에 따라서는 찍은 사진을 Review할때 흑백처럼 보여주기는 하지만 사실은 파일안에 모든 RGB 컬러정보를 다 가지고 있습니다. 흑백으로만 저장된 Raw파일은 Raw가 아닌 것이겠죠?


    저는 두가지 이유 때문에 Raw파일로 찍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바디에서 Raw정보를 JPG로 전환할때 입자의 손실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설정에 따라 색정보의 각색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흑백사진의 톤을 조정할때 RGB중의 특정 채널의 계조를 더 미묘하게 살려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RGB의 암부, 명부의 끝단이 손실된 JPG로는 계조 재생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 저는 Lightroom에서 흑백전환을 하게되는데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모두 서마사님의 공덕입니다. 명강의를 해주셨던 서마사님께 다시 한번 감사를...)

    제가 흑백으로 전환하고 있는 방법을 회원님들께서 한번 검토를 해주시고 좀더 괜찮은 방법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아래 사진이 원본입니다. 전체적으로 좀 어둡긴 합니다만 흰색 꽃잎면의 맑은 주름을 놓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약간 언더 노출이 되도록 촬영을 했습니다.


    1.png 



    처음 작업으로, 우측에 있는 "Black & White"를 클릭해 줍니다.


    1-1.png 



    그러면 아래처럼 변경이 됩니다.


    2.png   


    근데 흑백으로 변환해 놓고 보니 엄청 더 어두워 보이네요.

    2-1.png 



    그래서 Exposure, Recovery, Fill Light을 적절히 조정해서 꽃잎의 주름을 쬐금은 보일정도로 남겨놓고 백그라운드도 밝게 조정해 보았습니다.


    3-1.png  



     근데 그래 놓고 보니 은근히 꽃잎 안쪽의 속꽃잎이 좀 의도했던 것과는 달리 더 어두워 보였습니다. 컬러로 볼때의 노란색은 흑백일때 좀더 어두워보이나 봅니다. 그래서 노란색만 좀더 밝게 조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Lightroom에서는 RGB로도 조정할수 있는 옵션이 있지만 아래처럼 많이 사용되는 색상별로도 조정할수 있도록 더 간편한 옵션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4-1.png  



    Lightroom이 이것을 위한 아주 간편한 툴을 제공해 주는데요. (저는 이부분이 서마사님 강좌의 백미였습니다.) 1번을 클릭하고서 마우스를 원하는 변경 색상부위 (2번)에 가져가면 변경해야할 색상(3번)을 알기쉽게 Lightroom이 표시를 해줍니다.

    5-1.png 


    이 사진의 경우는 변경해야 할 색이 'Yellow'였고 이 색상의 값을 저는 '-22'에서 '-15'로 변경을 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제가 원하는 흑백사진으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6-1.png 


    혹시 또 좋은 정보가 있으시면 많이 공유해 주세요. 서로 나누면 배가 되어요~~~



    [샘플사진]


    아래는  원래의 컬러 사진입니다.

    DSC09336-2.jpg 


    아래는 그냥 원래의 사진을 흑백으로만 변환한 것입니다.

    DSC09336-3.jpg 


    아래는 위의 사진에서 암부를 위주로 밝기를 조정한 사진입니다.

    DSC09336-4.jpg


    아래는 위의 사진에서 다시 노란색에 한해서만 밝기를 추가 조정한 것입니다.

    DSC09336.jpg 


    이렇게 해서 최종 결과물을 만들었습니다만.... 근데 해놓고 보니까 개인적으로는  그냥 처음에 흑백으로만 바꾼 사진이 더 맘에 드네요. 어두운 사진을 좋아하는 나는 어둠의 자식...

    그저 지가 좋으면 그만이지라.... 어디까지나 취미생활인디...

  • ?
    파파아찌 2012.04.03 14:13

    오옷...... 이렇게 숨은 내공까지 보여주시다니.......


    이것은 유명한 요리사가 레서피를 가르쳐주는거하고 같다고 봐야겠죠.^^

  • ?
    슬리 2012.04.03 13:45

    문제에 대한 해답과는 좀 많이 동떨어진 내용인것 같지만, 정보 공유차 올려 봅니다 ^^.


    RGB에서 Gray Scale로 바꿔 주는 (Light Intensity로 바꿔 주는) 일반적인 식입니다.

    Gray = 0.299*Red + 0.587*Green + 0.114*Blue


    위의 식은 RGB Color System에서 Light Intensity를 뽑아내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으로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 대부분이 이 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본인의 감성에 맞는 다른 방법을 찾고 싶다면, 파파아찌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느낌에 따라 (화면 부분 부분 별로) 저 혼합 비율을 다르게 바꿔 보시면 될 것 같은데요, 저는 해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군요 ^^.


    사족을 달자면, 그린채널이 광정보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식에 의하면 약 60%). 요런 이유 때문에, 여러분이 잘 알고 계시는, Bayer Filter (카메라 이미지  센서에서 RGB Channel 분리해주는 놈)에 그린픽셀 수가 레드나 블루 픽셀 보다 두배나 많이 사용된 까닭이랍니다.

  • ?
    파파아찌 2012.04.03 13:50

    역시 아사동은 숨은 인재분들이 많아요....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 ?
    파파아찌 2012.04.03 18:53 Files첨부 (2)

    흑백사진의 형제  듀오톤이라는 것이 있어서 제 입맛에 맞게 지춘님 사진을 가지고  고쳐봤습니다.

    중요한건 암부에다만......색을 넣는다는 겁니다.

    허락없이 올려서 지춘님께서 자삭하라면 하겠습니다.


    safia.jpg



    blue.jpg

  • profile
    JICHOON 2012.04.03 19:12

    멋지게 만들어주시는데 누가 마다하리오~~

  • profile
    공공 2012.04.03 19:47

    저는 흑백은 아주 드물게 찍습니다만,, 지춘님 처럼합니다.

  • ?
    파파아찌 2012.04.05 15:29

    아마도 CS3 부터는 지춘님처럼 보정할수있게 된거 같군요.


    포토샵을 이용하시는 분은 링크를 클릭하시면 쉽게 잘 나와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vjTkwxLPClA


자유게시판

게시물, 사진 등록 요령과 주의사항이 아래 링크에 있으니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작성 제한 사항


갤러리 사진 등록가이드

  1. No Image

    오늘 가입했습니다

    by 쪼
    2012/05/15 by
    Views 2333  Replies 5
  2. No Image

    조언 부탁드립니다

    by kiku
    2012/05/14 by kiku
    Views 2452  Replies 6
  3. No Image

    5월 15일 A Day Project

    by clouldNine
    2012/05/13 by clouldNine
    Views 2302  Replies 1
  4. No Image

    [마감] 2012 포뮬러 드리프트 애틀란타 경기 티켓 드립니다. (금, 토요일)

    by HyundaiKA
    2012/05/10 by HyundaiKA
    Views 2499  Replies 3
  5. No Image

    안녕하세요... 반가웠습니다.

    by LittlePig
    2012/05/04 by LittlePig
    Views 2499  Replies 3
  6. 이제 걸음마를 시작한 초보 새내기 회원 인사 올립니다...^^:

    by 커스텀매니아
    2012/04/28 by 커스텀매니아
    Views 2735  Replies 9
  7. 퍼옴) 진정한 프로 작가!!!

    by docubaby
    2012/04/27 by docubaby
    Views 2533  Replies 2
  8. No Image

    4/29(일요일) 저녁 번개

    by .O
    2012/04/27 by .O
    Views 2623  Replies 2
  9. No Image

    5D vs 5D M-II

    by max
    2012/04/20 by max
    Views 2560  Replies 2
  10. No Image

    카메라 구매 질문요

    by absolut
    2012/04/19 by absolut
    Views 2397  Replies 14
  11. No Image

    부산 해운대의 요즘 모습

    by JICHOON
    2012/04/12 by JICHOON
    Views 1924  Replies 3
  12. No Image

    안녕하세요?

    by kiku
    2012/04/06 by kiku
    Views 1970  Replies 14
  13. 포토샵은 열었지만 후보정은 아니다...

    by .O
    2012/04/04 by .O
    Views 2025  Replies 8
  14. No Image

    로그온에 대한 질문요~~

    by 짤필
    2012/04/04 by 짤필
    Views 1932  Replies 5
  15. 흑백사진 노하우좀 가르쳐 주세요

    by 파파아찌
    2012/04/03 by 파파아찌
    in 토론
    Views 4597  Replies 8
  16. 가입인사 드립니다!

    by 아나콩콩
    2012/04/03 by 아나콩콩
    Views 2351  Replies 11
  17. No Image

    도와주세요~~~

    by 밍아
    2012/04/02 by 밍아
    Views 2098  Replies 19
  18. No Image

    드디어 카메라를 살 날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

    by 영은
    2012/04/01 by 영은
    Views 2507  Replies 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99 Next
/ 199
a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