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96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물거리는 아름다운 한글을 제대로 쓰기위해 가끔씩 공부하는데요,,,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 단어들은 우리가 자주 틀리게 쓰는 것들 이랍니다...

살펴보니,,, 저도 대부분 틀리게 사용하고 있었군요....

출처:   http://m.blog.naver.com/polo854/220456402174

FB_IMG_1440004274738.jpg


FB_IMG_1440004278075.jpg


FB_IMG_1440004281127.jpg


FB_IMG_1440004284123.jpg


FB_IMG_1440004287267.jpg






  • profile
    서마사 2015.09.29 22:30
    대부분의 우리의 잘못된 맞춤법은 오래전의 맞춤법과 최근의 법이 많이 변했기 때문입니다.
    몇몇 단어는 분명히 초등학교때 매맞으면서 배웠던 것들이 이제는 틀리는 맞춤법이 되었지요.
    아무리 그래도 " 구시렁 거리다" 라는 말을 하는 사람을 본 기억이 없습니다..나는 지금도 궁시렁 거리다 라고 쓰는데 나만 그런가? 나만 초등학교 분교를 나와서 잘못배웠나?
  • profile
    JICHOON 2015.09.29 23:43
    아... 나는 맛는 것이 없따아.... 큰일이로세...
  • profile
    keepbusy 2015.09.30 14:30
    언어도 생성, 소멸 되는 문화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바뀌는 것이 당연합니다..

    소멸되어 가고있는 언어를 기억하고 쓰고 있는 사람들은 구세대
    새로 생성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신세대... 뭐 .. 이렇게 되겠지요...
  • profile
    유타배씨 2015.09.30 16:18
    가뜩이나 쉽지않은 맞춤법이 그것도 바뀌니 모든국민들이 잘 모르는것은 당연합니다. 지방마다 또 말도 다르기도 하니 이렇게 "표준말" 만을 고집하다가는 지방말이 점점 사라져가는 안타까움도 있을테고요. 사투리는 잘못된것이 아니라 경기도지역의 말과는 다른것 뿐일테니까요.
    우리말은 한 100년만 지나도 너무 다른것 같아요. 홍길동전은 커녕 조선후기의 한글만 보아도 도저히 읽을수가 없어요, 저는 읽고 싶습니다. 한자는 몇천년 동안이나 씌이고, 영어도 모르긴 몰라도 근 2~300백년 정도의 글은 다 읽고 이해할수 있을텐데요.

    개인적으로 가장안타까운것은 외국어 밀려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입니다. 외국인들이 우리말을 배울때는 한글도 배워야되고, 또 한국인들이 쓰는 외국어, 특히 영어도 한국식으로 따로 배워야한답니다. 한글은 500년전에 만들어진 최첨 과학적인 글이고, 우리말은 프랑스말이 들리우는것 처럼 매우 아름답게 들리기에 그 아쉬움이 더욱 큽니다. 우리가 영어를 즐겨쓰면, 영국이나 미국사람들은 우쭐해 지겠죠? 마찬가지로 다른 나라사람들이 한국어를 즐겨섞어 쓴다면 우리도 어깨가 으쓱하게 될것도 같고요.

    한글과 우리말에 자부심을 가집니다.
  • profile
    Espresso 2015.09.30 22:20
    하나하나 읽어봤습니다만 지금 받아쓰기 시험봤다면 30점도 안될 것 같네요.
    정말이지 크게 인쇄하여 벽에 걸어둬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댓글을 쓰고있는 지금도 틀린 철자는 없는지 걱정입니다.
  • ?
    maxine 2015.10.04 17:57
    가장많이 본 단어가 '어의없다' 네요... 지금도 여러 포럼 댓글들을 보면 어의없는~ 덧글들~
  • ?
    Sam 2015.10.16 14:43
    맞아요,
    필요하죠 감사.

  1. Flash에 관한 간단한 강좌

    by 아누나끼
    2016/02/14 by 아누나끼
    in 강좌
    Views 319  Replies 4
  2. No Image

    크리스마스 Light Displays

    by 공공
    2016/12/05 by 공공
    in 추천촬영지
    Views 300  Replies 1
  3. No Image

    (정보) 왜 B&H가 장비에 택스를 붙이기 시작했을까~

    by 은댕
    2019/07/25 by 은댕
    in 정보
    Views 298  Replies 7
  4. No Image

    Chicago 출사 points?

    by 기억이란빈잔에
    2016/07/26 by 기억이란빈잔에
    in 추천촬영지
    Views 297  Replies 2
  5. No Image

    Sony A7M3/A7R3 Firmware 3.0 업데이트 정보입니다

    by 은댕
    2019/04/11 by 은댕
    in 정보
    Views 297  Replies 3
  6. 궁시렁거리다 vs 구시렁거리다 ???

    by 공공
    2015/09/29 by 공공
    in 정보
    Views 296  Replies 7
  7. Cleveland, SC 출사지 정보

    by keepbusy
    2016/11/30 by keepbusy
    in 추천촬영지
    Views 296 
  8. No Image

    유튜브 음원 올리기

    by 아누나끼
    2016/04/09 by 아누나끼
    in 정보
    Views 289 
  9. No Image

    YouTube link insert

    by Steve
    2021/04/26 by Steve
    Views 283  Replies 5
  10. zoom, macro, and telephoto lens 의 차이

    by 아누나끼
    2016/02/11 by 아누나끼
    in 정보
    Views 281  Replies 4
  11. No Image

    흑백사진 강의 자료

    by max
    2017/03/03 by max
    in 정보
    Views 281  Replies 5
  12. 드론 라이센스 강좌 업데이트

    by ace
    2019/08/25 by ace
    in 강좌
    Views 273  Replies 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Next
/ 17
a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