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25 03:09

온돌, 고래, 그리고...

조회 수 89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4




2/4




3/4




4/4

  • ?
    hopes 2016.04.26 13:21
    신기하네요..
    그 머나먼 거리까지 어떻게 교류가 가능했는지.

    학창시절 백제문화제 행사 땜에 점심먹고 땡볕에서
    건 두달정도는 매일 연습했던 지겨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금강다리밑 모래밭에서 하얀한복입고 청사초롱 들고 강강 술래를
    해야 하는데 치마 밟히고 초불꺼지고 초불 안꺼지게 살살 돌라고 혼나고...

    공주는 뭔 행사가 그리많은지...
    유명인사도 많고..
    이에리사선수 탁구 우승했다고 공부안하고 길거리서서 박수쳐야했고...
    밤이면 불꽃놀이 여기저기 펑펑

    요즘도 이런행사는 이어지겠죠.??
  • profile
    아누나끼 2016.04.26 15:24
    한반도에서 알라스카까지는 작은 섬들이 계속 나열되어 있어서 작은 배로도 항해가 가능했던 걸로 생각됩니다. 특히 고대의 한반도 주민들은 항해술에 매우 능했다고 전해지고요.

    우리의 역사 중에 왜곡된 부분이 많지만 특히 백제의 경우는 그 정도가 심한 것 같습니다. 우리가 배울 땐 기억나는 부분이 의자왕의 방탕과 삼천궁녀 정도였었으니까요. 최근에 나온 여러가지 자료를 보면 백제는 고구려 못지 않게 넓은 영토를 지배했던 것으로 나옵니다. 중국의 동부해안의 상당부분이 백제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고 합니다.
  • ?
    hopes 2016.04.26 15:32
    아... 그땅들

    부여 백마강엔 지금 물이없어요.
    삼천궁녀가 다 마셔서 그렇다네요...ㅋㅋ
  • ?
    (이쁜)왕언니 2016.04.26 17:38
    우리나라에서 고래잡이 하면 제일 대표적인 곳이 울산 "장생포" 라는 곳이었어요, 동해안 포항쪽도 조금씩 고래 잡이를 한다고는 들었지만 그 수량이나 규모가 장생포를 못 따라간 것으로 예전 어른들이 하신 말씀이 기억납니다. 장생포는 지금 공업단지들이 들어와서 더 이상의 어촌은 아니지요.
    얘기 듣기론 고래잡이 산업이 엄청 큰 규모였었구요, 고래배를 가진 몇몇 회사는 요즘의 현대, 삼성 정도의 권력을 가졌던 것으로 들었습니다.(그 옛날 현대,삼성등이 생기기전에는요)
    그 잔재가 제가 어렸을때까지도 조금 남아 있었어요. 고래배가 들어 온 다음날이면 시장에 싱싱한 여러종류 여러부위의 고래고기가 온통이었구요,,,, 그리고 고래배는 예전 조선시대의 그런 조그마한 배는 아니고 많이 큰배였다고 들었습니다.
    그 기억으로 보면 위의 학설은 분명히 근거가 있는 학설로 인정합니다.
  • profile
    아누나끼 2016.04.26 18:49
    흥미로운 이야기 입니다.
    일본에서 소학교 다닐 때 급식으로 고래고기가 나와서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은 환경보호로 인해서 고래잡이가 엄청나게 제한이 되었죠.

자유게시판

게시물, 사진 등록 요령과 주의사항이 아래 링크에 있으니 꼭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작성 제한 사항


갤러리 사진 등록가이드

  1. No Image

    백제의 진실된 역사

    by 아누나끼
    2016/04/22 by 아누나끼
    Views 47 
  2. No Image

    온돌, 고래, 그리고...

    by 아누나끼
    2016/04/25 by 아누나끼
    Views 89  Replies 5
  3. No Image

    !!!!!!!!!!!!!!!!!!!!!!!!!!!

    by BMW740
    2016/04/25 by BMW740
    Views 110 
  4. No Image

    (요청) 롤랑 바르트 "밝은 방"

    by 깡쇠
    2016/04/25 by 깡쇠
    Views 286  Replies 12
  5. 원로 사진작가와의 만남 . . .

    by 에디타
    2016/04/26 by 에디타
    Views 109  Replies 6
  6. 이럴땐 어떤 방법이?

    by 아누나끼
    2016/04/26 by 아누나끼
    in 토론
    Views 337  Replies 18
  7. No Image

    Magnum Photography Awards 2016 (5월24일 접수마감)

    by JICHOON
    2016/04/27 by JICHOON
    Views 112  Replies 1
  8. 탁구 소감 . . .

    by 에디타
    2016/04/27 by 에디타
    Views 196  Replies 10
  9. No Image

    생활체육

    by kulzio
    2016/04/27 by kulzio
    Views 112  Replies 5
  10. No Image

    Leica M-D

    by 유타배씨
    2016/04/28 by 유타배씨
    Views 134  Replies 6
  11. No Image

    (Debating 요청) 유타베씨님의 "거리의 천사" 댓글들에 대한 반대 의견

    by 깡쇠
    2016/04/28 by 깡쇠
    Views 231  Replies 35
  12. No Image

    FIELD EXPERIMENT 2016

    by Happyfish
    2016/04/29 by Happyfish
    Views 104  Replies 5
  13. No Image

    강좌요청

    by 아누나끼
    2016/04/29 by 아누나끼
    Views 260  Replies 28
  14. 코닥 향기를 살짝 입힌...

    by 영민아빠
    2016/05/02 by 영민아빠
    Views 99  Replies 7
  15. 식도락을 즐기는 분들께

    by 아누나끼
    2016/05/03 by 아누나끼
    Views 71 
  16. No Image

    강아쥐나 고냥이를 사랑하시는 분들 함 가보세여...

    by kulzio
    2016/05/03 by kulzio
    Views 75 
  17. No Image

    소니 A7 유저에게 지름지표를 던집니다 ㅎㅎ

    by Shaun
    2016/05/03 by Shaun
    Views 136  Replies 4
  18. No Image

    Porsche for a day...

    by blue_ocean
    2016/05/05 by blue_ocean
    Views 204  Replies 11
  19. No Image

    대한민국역사박물관

    by 아누나끼
    2016/05/05 by 아누나끼
    Views 82  Replies 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99 Next
/ 199
aaa